-일종의 명령으로서 인간이 원가족 삼인군의 경험에서 획득되어 내재화된 것
-정보를 처리할 때 따르는 규준으로써 가족구성원들의 행동을 지배함
-명시적이거나 암묵적임 명시적: 잠자는 시간, 귀가시간, 가사 책임 등
암묵적: 가족 모두가 의식하고 있으나 말하지 않는 규칙 예)부모의 재혼사실, 어려서 죽은 자녀 이야기 등
-가족사정에서 가족체계에 적용되고 있는 규칙의 타당성을 가족들과 검토
-역기능적인 의사소통과 낮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규칙에 개입
-규칙이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불공평할 때, 부적절할 때는 치료사의 교육적인 역할이 요구됨
-가족규칙의 지침 가족들이 지킬 수 있을 정도로 인간적이어야 함
변화하는 상황에 맞게 변동가능한 융통성을 띠어야 함
정보는 모든 가족구성원에게 공유되어야 함
경험과 감정은 표현되어야 함 사회화에 관한 규칙, 상황의 변화에 따른 규칙의 융통성, 차이를 다루는 규 칙, 정보를 다루는 규칙, 금지된 주제, 성과 연령에 따른 규칙 등을 중요하게 다룸